탐구영역과 진로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전공은 인간의 교육 및 학습 활동이 전생애(life-long)에 걸쳐 사회 전 영역(life-wide)에서 일어나며 개인적 차원에서 삶의 의미와 목표, 성장 및 발전에 직결되며, 조직, 지역사회, 사회/국가의 진화 및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학의 탐구 영역을 학교 외부의 다양한 교육장면과 사회 영역으로 확장시키려는 시도이자 새로운 관점에 입각해 있다.
학교 외부의 성인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했던 사회교육의 연구 전통을 계승한 평생교육 분야는 글로벌 경제, 정보네트워크사회, 지식기반사회, 탈구조주의사회, 이미지 사회 등 다양하게 표상되는 새로운 시대적 패러다임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교육과 학습, 성장과 발전 현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개념과 이론의 창출을 시도하는 학문분야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분야는 학교를 중심으로 한 형식교육(formal) 맥락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형식(non-formal) 및 무형식(informal) 학습 맥락에서 일어나는 학습과 그 교육적 지원 현상과 원리를 학습자 개인이라는 미시적 수준은 물론 기업, 공공조직, NGO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 조직과 공동체, 국가 정책과 제도, 국제기구를 비롯한 글로벌 시스템이라는 거시적 수준에서 탐구한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의 평생교육전공은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학습사회(learning society), 학습시스템(learning system),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리더 및 전문가 육성 등의 핵심 주제 분야를 이해하고 혁신할 수 있는 전문가와 연구자들을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원 졸업 후 대학, 연구소, 기업 및 공공조직, 평생교육기관, 국제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평생교육 및 학습 분야에 헌신하는 최고의 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평생교육전공에서는 또한 평생교육법에 근거한 국가 자격인 평생교육사 취득을 위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연구, 평생교육경영세미나, 평생교육방법연구,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평생교육실습 등 5개의 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

또한 평생교육법에 장애인평생교육에 관한 조항이 신설(2016. 5. 29.)됨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 트랙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트랙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사 자격 필수과목 5개와, 특수교육전공에 개설된 정신지체아교육, 학습장애아교육론, 특수아 진단 및 평가, 정서 및 행동문제와 교육상담, 통합교육론, 특수교육연구 세미나 과목 중 4개를 이수하여야 한다(단, 학부에서 특수교육학개론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교직 필수과목인 특수교육학개론을 추가로 이수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