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
김민환 |
大韓帝國時代民間新敎育運動의 社會的 性格分析 |
1985 |
김승호 |
過剩學歷者의 社會的 性向에 관한 硏究 |
1986 |
김광하 |
서울시내 성인의 사회교육기회 획득에 관련된 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
1986 |
김민호 |
社會敎育 類型化 方式에 관한 分析的 硏究 |
1987 |
한숭희 |
學校知識의 商品化에 관한 硏究 |
1987 |
Kapuku, Mudipanu |
Adult nonformal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national context :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Saemaul Education |
1988 |
김태곤 |
1920년대 야학의 대항교육적 성격 |
1988 |
이지혜 |
都市貧民女性의 社會敎育 參與機會와 要求分析 |
1993 |
현길선 |
일제 식민지시대와 해방이후의 교육법 비교연구 : 학습권을 중심으로 |
1994 |
권효숙 |
영국 한인학교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영국문화의 선택적 수용과 본국 교육에의 적응 |
1994 |
배영주 |
성인교육방법으로서의 자기주도학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994 |
신나민 |
비판적 성인교육론의 학습자관에 관한 연구 |
1994 |
이지연 |
어머니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기대와 자녀교육 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지역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
1995 |
Potyrt,
Carl |
Research on the korean system of distance higher education : a case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1997 |
권진희 |
성인의 미디어문해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
1997 |
황여진 |
성인의 자기반성적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
1998 |
김미령 |
관리자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에 관한 연구 : 산업구조의 변화와 그 대응양식 |
1998 |
김옥경 |
학부모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수준에 관한 연구 |
1998 |
김진주 |
성인교육 프로그램 계획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
1998 |
박은미 |
업무환경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1998 |
양흥권 |
지역사회학교 운영에 있어서의 관련집단의 인식과 역할갈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1998 |
이원화 |
미국 지역사회대학(community college)의 성인고등교육기관적 특성에 대한 연구 : 캘리포니아주의 경우를 중심으로 |
1999 |
김승주 |
기업의 학습조직론 분석 |
1999 |
정혜령 |
실직노숙자의 경험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
2000 |
노일경 |
한국 사회교육학의 성립과정과 이념적 지향성에 관한 연구 |
2000 |
홍유희 |
에드워드 린드만의 비판적 사회화론에 관한 연구 |
2000 |
Nguyen,
Khac Binh |
Training Vietnamese workers at Korean-Vietnamese joint ventures in Vietnam |
2001 |
박상옥 |
대학생 ‘학회’의 학습공동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1 |
임해규 |
성인 직업교육에 대한 인본주의적 고찰 : 부천시 사례 중심 |
2001 |
허 준 |
도시빈민 학습자의 비판적 성인학습과정 연구 : 1978∼1983년 들꽃야학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
2002 |
강대중 |
대안교육의 제도적 갈등과 쟁점 연구 |
2002 |
김경애 |
지식창출형 온라인 성인학습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 A 교원연수원 “교사학습공동체 과정”사례를 중심으로 |
2002 |
김영경 |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에 관한 사례 연구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
2002 |
윤창국 |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2002 |
진성미 |
영업직 종사자의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 |
2002 |
최윤정 |
무학력자의 성인문해학습과정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
2003 |
김진희 |
지구화 맥락에서 본 시민운동단체 교육활동 변화에 관한 연구 : 『환경운동연합』을 중심으로 |
2003 |
나은희 |
자원봉사자의 학습과정과 관점전환 연구 |
2003 |
이무성 |
외국인 노동자의 비판적 학습과정 연구 |
2003 |
최일선 |
노인 무학력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만수노인대학 한글반을 중심으로 |
2003 |
홍은광 |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
2004 |
김종성 |
불교수행자의 학습과정 연구 |
2004 |
박형민 |
유네스코 평생교육의 형성과 전개 |
2004 |
이지연 |
성인학습자의 문해교육 참여지속에 관한 연구 |
2005 |
김선진 |
노인학습에 있어서 학력의 의미 |
2005 |
남춘화 |
주민의 정보문해가 마을공동체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황둔 정보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2005 |
이정은 |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점취득유형에 관한 연구 |
2005 |
최선주 |
지역공동체운동의 학습네트워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YMCA 생협 ‘등대’ 사례를 중심으로 |
2006 |
김민정 |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담당자의 직무 인식에 관한 연구 |
2006 |
김영희 |
중년여성의 여성주의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
2006 |
김지현 |
학습사회 논의의 이론적 지형과 쟁점에 관한 비판적 고찰 |
2006 |
최규선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사례에 나타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의 장애요인 분석 |
2006 |
하승연 |
멕시코 성인교육의 현황과 프로그램적 특성 : 정부와 NGO를 중심으로 |
2007 |
김은희 |
농촌지역 평생교육 실태분석 |
2007 |
한허정 |
조직 중간 관리자의 코칭 역량에 관한 연구 |
2008 |
공보람 |
기독교 성인교육 참여가 부모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
2009 |
권귀헌 |
육군 장교의 경력성공지향과 일터경험의 관계 |
2009 |
위현진 |
IT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인재육성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09 |
배형준 |
학교장의 리더십 철학을 통해 본 리더십 가치 분석 |
2010 |
김인재 |
자본주의에서 학습이 관리되는 방식에 대한 고찰 : 지식기반경제에서 인적자본, 문화자본, 사회적자본에 대한 비교 분석 관점에서 |
2010 |
박주형 |
학교, 학원, 가정에서의 초등학생 영어 학습 경험의 통합적 이해 |
2010 |
이은정 |
시민교육활동가들의 교육에 대한 관점 변화와 실천양상 탐색 |
2010 |
임규연 |
생협 학습동아리의 대화양식이 형성하는 자기성찰과 공동선 실천의 경험구조에 관한 연구 |
2010 |
이재준 |
생협에서의 일터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
2010 |
이도엽 |
해군 항해병과 영관급 장교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
2010 |
선우형 |
과학기술분야 전문가의 결정경험 연구 |
2010 |
성문주 |
관리자의 인재육성 행동과 보상공정성 행동이 부하직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2010 |
최늘샘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간 학습 연구 |
2010 |
윤미희 |
사회적 기업의 조직정체성 형성과 집단학습 과정 연구 : 아름다운가게 온라인 쇼핑몰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
2011 |
박지선 |
일터 학습의 인격적 관여 양상에 관한 연구 |
2011 |
Ye Jing |
중국 과학기술인재 육성정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2011 |
김은지 |
일-가정의 균형 및 경력개발을 매개로 직무자율성, 직무스트레스가 해군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2011 |
최예슬 |
중학생 직업포부의 변화추이,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
2011 |
유민선 |
마을공동체 형성·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학습에 관한 연구 : 성미산마을을 중심으로 |
2011 |
김의태 |
비형식 인문교양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숙인의 학습에 관한 연구 : <성프란시스대학 인문학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
2011 |
박지숙 |
시민참여교육 참여 학습자들의 학습결과로서의 후속활동에 관한 연구 : 서울 A구 <시민지도자 아카데미> 사례를 중심으로 |
2011 |
Pan Deng |
교육불평등과 사회발전의 관계 |
2012 |
최철규 |
공동육아과정에 참여하는 부모들의 공동체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
2012 |
서동인 |
융합연구를 경험한 과학 및 과학기술자의 교역지대 교류경험 연구 |
2012 |
강일규 |
해군 장병의 군 이러닝 사용의도와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 |
2012 |
이정희 |
고독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경험 |
2013 |
고혁준 |
From genocide to development : a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process of Gasi-ri village, Jeju, Korea
(학살에서 발전으로 : 제주 가시리 마을의 집단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
2013 |
박종철 |
혁신학교 교사의 민주적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
2013 |
원소희 |
The Factors hin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school English literacy program in Zambia
(잠비아 초등 영어 문해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2013 |
유주영 |
독학학위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관한 연구 |
2013 |
이병훈 |
관점전환이 추동한 경력전환의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2013 |
이승협 |
김종서 박사의 학문활동에 대한 생애사적 탐색 : 초기 문해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2013 |
이유진 |
(The) perceived barriers to graduat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Zambia
(잠비아 대학원교육에 관한 지각된 진학장벽) |
2013 |
장성연 |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출신 대기업 입사자들의 스펙쌓기 경험에 관한 연구 |
2013 |
조석영 |
성인문해교육 기관의 학력인정제도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
2014 |
김민수 |
평생학습 관심집단의 학습참여양식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2014 |
김재현 |
대학생의 토론수업 멘토링 참여 경험분석 |
2014 |
유상옥 |
팀학습 핵심수행자의 역할 및 영향요인 분석 |
2014 |
이동제 |
군 조직 인력성과 지표개발 연구: 육군본부를 중심으로 |
2014 |
이상훈 |
대학교수의 문제발견 과정 연구 |
2014 |
이예정 |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및 개인요인에 대한 연구 |
2014 |
조혜정 |
모유수유 경험에서 나타난 학습에 관한 연구 |
2014 |
진난주 |
학교 학습과 직업 현장 학습 간의 불연속성에 관한 연구 |
2014 |
한지혜 |
평생학습중심대학 사업의 전개와 계약학과의 역할에 관한 연구 |
2015 |
Chen, Xi |
농민공자제학교(農民工子弟學校)에 관한 연구 |
2015 |
박한림 |
창업가의 성장경험 연구 |
2015 |
신다영 |
자전적 글쓰기 프로그램 참여 성인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
2015 |
윤도경 |
‘사람중심 노동교육’의 구현에 관한 사례연구 : 민주노총교육원 「노동운동지도자과정」을 중심으로 |
2015 |
황하 |
조선족 입주 가정교사 겸 가사도우미의 한국 자녀교육문화에 관한 경험학습 연구 : Peter Jarvis의 경험학습모형으로 |
2016 |
Isiyok, Sukriye |
Characteristics of a cohesive school environment in a divided society
(분열된 사회에서 사회화합 학교 교육환경에 특징) |
2016 |
김현수 |
평생학습 자발적 비참여 양상의 사회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4개국 PIAAC 데이터를 중심으로 |
2016 |
남유진 |
평생학습 맥락에서의 직업경험 인정과 고등교육 접근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프랑스 경험학습 인정제(VAE)의 제도화 과정을 중심으로 |
2016 |
석상아 |
Barriers perceived by music teachers in the adoption of UNESCO’s arts in education approach
(유네스코 Arts in education approach에 대한 음악교사들의 인식) |
2016 |
정지연 |
중산층 경력단절 여성의 모성역할 학습에 관한 연구 |
2017 |
강문정 |
초등학교 학부모 되기 : 상위권 자녀를 둔 서울 거주 중산층 엄마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2017 |
김은파 |
Expanding the concept of service-learning : Korean long-term international volunteers’ experience
(봉사학습의 개념 확장 : 한국인 장기 국제자원봉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2017 |
김다슬 |
학원에서 학교로 : 평생직업능력개발 체제에서 기술계 학원의 형태변환에 관한 사례연구 |
2017 |
국혜수 |
평생교육사의 현장경험에서 나타나는 평생교육 이론과 실제의 타협 양상 |
2017 |
조은 |
이명박 정부의 ‘학부모 교육과정기준’ 에 대한 비판적 내용 분석 |
2017 |
김연주 |
성인국악동호회 <풍류회>의 학습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
2017 |
김재웅 |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과 난점 |
2017 |
이경림 |
한국 평생교육 현장의 행위자 집단으로서 ‘평생학습족’ 의 형성 및 특징에 관한 연구 |
2017 |
전샛별 |
은퇴 남성의 손자녀 양육 경험에서 나타나는 학습 양상에 관한 연구 |
2018 |
강희영 |
독일 성인정치교육 영역에서 보이텔스바흐 합의가 가지는 의미 |
2018 |
성희창 |
교사의 소명의식 형성 과정 연구 |
2018 |
신재윤 |
평생교육 교강사로의 경력전환 과정 연구 |
2018 |
임경림 |
성찰역량 척도 개발 연구 |
2018 |
장영영 |
중국 직업교육에서의 <현대학도제>의 적용과 실제: 중국 르자오직업기술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
2018 |
장형운 |
초등학교 교사의 직업 정체성 형성: 경력 중기 평교사의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
2018 |
송정유 |
이주민 성인문해교실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와 그 대응양식 |
2019 |
김정현 |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에 관한 연구: 경기도 S시 혁신교육지구사업을 사례로 |
2019 |
안소희 |
문학작품에 나타난 시민성 학습양상에 관한 연구 |
2019 |
심은비 |
대학교수의 학문열정 형성과정 및 특징 연구 |
2020 |
구현화 |
기자의 상호작용 전문성 연구 |
2020 |
이지환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학교 여성 교사의 정체성 학습 연구: 학부모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의 갈등과 협상을 중심으로 |
2020 |
김진한 |
콜브(D. Kolb)의 경험학습이론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입장에서- |
2021 |
백지현 |
학교 밖 청소년 교육지원 네트워크 사례연구
-S시 G구 A대안학교를 중심으로- |
2021 |
정제영 |
자녀 양육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엄마되기’ 학습에 관한 연구
-고학력, 중산층, 수도권 거주 여성을 중심으로- |